- BY samhwagiwa
- POSTED IN 수입 기와, 마자론 기와, 변색 기와
- WITH 0 COMMENTS
- PERMALINK
- STANDARD POST TYPE

이번 현장은 제천시 청전동에 위치한 주상복합 신축 현장입니다. 지면이 수평이 아니라 기울어진 경사면에 시공된 건물이라 전면은 4층, 후면은 3층으로 설계된 건물입니다. 지붕은 변형된 맞배지붕의 형태로서 한쪽 지붕면은 평범한 사각 지붕면이지만 다른 한쪽은 여러 단으로 잘려진 형태의 지붕입니다.
지상에서 바라본 건물 지붕의 모습입니다. 건물 전면은 벽돌로, 후면에는 석재로 외벽을 마감한 형태인데 지붕면의 경사가 매우 급경사이므로 작업에 상당히 난항이 예상됩니다. 더구나 콘크리트 타설을 하면서 생긴 작은 부스러기들 때문에 지붕면이 미끄러워 안전에 특히 유의하면서 작업을 해야만 합니다.
지붕 방수를 위해 방수시트를 부착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지붕 경사가 높기 때문에 작업이 무척 위험하고 까다로우므로 신중하게 작업하고 있습니다.
방수시트 부착을 끝내고 나니 한결 지붕을 오르내리기가 수월합니다. 안전과 작업의 편의를 위해 나무토막으로 작은 임시 계단을 만들어 놓은 것이 사진 왼쪽에 보입니다.
건물 후면의 외벽은 석재로 마감했다고 좀 전에 설명드린 바 있습니다만, 이번 시공에 이 부분이 큰 난관으로 다가왔습니다. 바로 석재 시공팀이 석재 경사면을 사선으로 절단하면서 지붕면과 상당히 차이가 나도록 높이 잘라 시공해 놓은 것입니다. 위 사진을 보시면 지붕면과 석재 절단면이 상당히 차이가 나는 것이 보입니다. 이것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바로 건물 전면쪽, 그러니까 반대편 방향의 지붕면과 높이 차이가 심하게 나기 때문입니다. 즉 같은 지붕면의 좌갓과 우갓 부분의 높이를 각각 다르게 시공해 놓았기 때문에 기와를 시공하면서 지붕면이 살짝 뒤틀릴 수밖에 없도록 해 놓은 것입니다. 결국 건축주의 양해를 얻어 지붕면의 생김새를 그대로 따라가면서 시공하되 최대한 차이를 구별할 수 없도록 신경 써서 시공하기로 합니다.
용마루 또한 석재팀의 시공으로 인해 높이가 많이 높아진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지붕면에서 각상이 많이 떨어져 있는 것이 보입니다.
용마루와 세로상 기초가 끝나면 실을 띄워 세로상의 수평을 맞추고 괴임목을 괴어 고정합니다.
완성된 세로상 위에 가로상을 설치하고 있는 과정입니다. 아직 괴임목을 촘촘하게 설치하기 전의 모습이지만 어느 정도 수평이 잡힌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지상에서 바라본 각상 작업의 모습입니다. 지붕 아래쪽으로 내려올수록 지붕면과 세로상의 높이가 점점 벌어지는 것이 보입니다.
각상 작업을 모두 마치고 크레인으로 기와를 인양하고 있습니다. 이번 현장은 건물의 높이도 높고 지붕면의 경사도 높은 만큼 특히나 인양 작업에 만전을 기해 안전하게 작업합니다.
인양 작업이 모두 끝나고 빈 팔레트를 모아서 크레인으로 내리고 있습니다. 마지막까지 안전에 신경 써서 작업합니다.
기와를 모두 펼쳐 놓은 후의 모습을 지상에서 바라본 장면입니다. 저녁의 햇살을 받아 기와의 색감이 한결 붉게 느껴집니다. 본격적인 기와 시공 작업은 날이 밝으면 다시 시행하기로 하고 현장에서 철수합니다. 높은 건물 높이와 지붕 경사, 뜨거운 날씨 등 쉽지 않은 작업 환경 등과 씨름하며 시공하느라 작업자 모두 녹초가 되어 퇴근합니다.
다시 날이 밝아 본격적인 기와 시공에 들어갑니다. 한쪽 지붕은 단순한 사각형태의 지붕이라 한결 시공이 수월하지만 다른 쪽 지붕은 여러 단계로 지붕이 잘려져 있는 형태라 시공이 무척이나 더디고 까다롭습니다. 사진처럼 지붕이 잘려져 있는 곳의 시공은 일일이 기와를 컷팅하여 물받이 길이에 맞도록 시공합니다.
잘려진 지붕면의 시공이 완성되었습니다. 깔끔하게 잘 시공된 모습입니다.
지붕의 양쪽면이 모여서 만나는 부분인 슬라브 꼭지점 부분을 촬영한 사진입니다. 슬라브면을 따라 갓기와가 부착되고 나면 사진의 노란 실선처럼 박공 머리가 나중에 부착되는데, 보시는 바와 같이 지붕 슬라브의 꼭지점이 위 아래가 다르게 콘크리트가 시공되어 있습니다. 즉, 첫 번째 사진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슬라브면의 위쪽 꼭지점과 아래쪽 꼭지점이 각각 어긋나 있습니다. 세 번째 사진은 포토샵으로 수정하여 슬라브면 꼭지점이 일치하도록 약간 효과를 준 사진인데, 이처럼 붉은 실선이 위 아래로 일치가 되도록 시공되어야 나중에 박공 머리가 예쁘게 시공됩니다. 하지만 시공을 하면서 여러 현장을 다녀보지만 대부분의 주택이 이처럼 위 아래의 꼭지점이 일치하지 않습니다. 콘크리트 지붕의 경우에는 거의 일치하는 경우가 드물며, 비교적 시공이 수월한 샌드위치 패널 지붕의 경우에도 이렇게 꼭지점이 틀어져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현장을 만나면 나중에 박공 머리를 시공하고 나면 위 사진의 가운데 사진과 같이 중심축이 약간 틀어져 보이기 때문에 미관상 별로 아름답지 않으므로 시공에 참 난감한 경우가 많습니다.
용마루 하부 자재는 투습 방수 기능이 있는 전용 알미늄 벤트를 사용하여 마감합니다. 콘크리트 슬라브 지붕의 경우에는 목조주택과 달리 기와 아래 지붕면의 결로 현상 등 공기 순환에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기 때문에 몰탈을 이용한 시공도 가능하지만, 지붕의 내구성과 수명 연장을 위해 고급 자재인 전용 벤트를 사용하여 마감합니다.
시공이 모두 완료된 후의 모습입니다. 비계와 가림막에 가려 건물 전체의 모습과 지붕면의 모습이 한눈에 들어오지 않아 살짝 아쉽긴 하지만 깔끔하고 멋지게 마무리되어 작업자로서 뿌듯한 느낌을 받은 현장이었습니다.
이번 시공에 사용된 기와는 마자론 기와의 아두르 제품입니다. 전체적으로 붉은 빛의 색상 위주로 배색된 기와로 따뜻한 분위기를 연출해주는 스테디셀러 기와입니다. 아두르 제품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 마자론 아두르 제품 설명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