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Y samhwagiwa
- POSTED IN 수입 기와, 마자론 기와, 변색 기와
- WITH 0 COMMENTS
- PERMALINK
- STANDARD POST TYPE

이번 현장은 강원도 영월군 남면 연당리에 위치한 개인주택 증축 현장입니다. 기존 주택에는 아스팔트 슁글로 지붕이 일부 설치되어 있었는데 새로 건물을 증축하면서 시공한 지붕에 맞춰 모두 수입 오지기와로 시공하기로 결정된 현장입니다. 골조와 외벽은 콘크리트에 벽돌로 시공되어 있으며 지붕은 샌드위치 패널로 시공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실측을 위해 최초 방문했을 당시의 사진입니다. 현관 위쪽의 지붕에는 아스팔트 슁글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2층 지붕에는 샌드위치 패널 위에 방수시트를 부착하여 놓은 것이 보입니다.
실측을 위해 지붕 위에 올라가 보니 예상치 못했던 장애물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심야 전력을 위해 인입해 놓은 굵은 가닥의 전기줄이 기존 슁글 지붕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입니다. 지붕 방수를 위해서는 다른 곳으로 이전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상황상 불가능하므로 그대로 놓고 기와를 설치하기로 합니다.
시공 날짜를 잡고 다시 방문하여 각상 설치를 하고 있습니다. 기존 아스팔트 슁글 위에도 방수 시트가 덮여져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방수시트의 품질이 그다지 좋지 않아 부직포가 쉽게 상하고 들떠 각상 작업이 쉽지 않습니다.
샌드위치 패널 지붕면의 경우에는 보통 가로상만 설치를 해도 큰 무리가 없습니다. 다만 혹시라도 있을 수 있는 누수에 대비하여 일정 간격으로 각상을 띄워놓아 물길을 만들어주고 시공합니다.
각상 작업이 완성된 후의 모습을 하늘에서 바라본 사진입니다. 아직은 썰렁하고 허전한 모습이지만 기와가 덮이고 나면 예쁜 모습으로 변모할 것입니다.
기와가 도착하고 인양을 위해 크레인 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샌드위치 패널 지붕의 경우 콘크리트 지붕이나 목조주택의 지붕에 비해 지붕면이 상대적으로 약하므로 특히 크레인 작업에 유의해야 합니다. 사전에 기와 팔레트를 지붕면의 어디에 어떻게 놓아야 할지를 미리 계획하고 놓아야 혹시 모를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이번 시공의 최대 난관 중의 하나인 전력 인입선 부분입니다. 다시 살펴보니 굵은 전력선 및 이를 고정하는 와이어와 고정핀 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시간도 많이 걸릴 것 같습니다.
일단 측면에 붙이는 갓기와부터 잘라 붙입니다. 와이어와 전화선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컷팅하여 붙인 모습입니다.
시공이 끝난 후의 모습입니다. 기존에 어지럽게 얽혀 있던 와이어와 고정핀 등은 모두 기와 아래로 숨겼지만 굵은 전선만은 어쩔 수 없이 기와 위로 빼서 시공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누수에 대비해서 실리콘으로 꼼꼼하게 방수처리를 한 모습입니다.
용마루 부분도 깔끔하게 마무리합니다. 용마루 하부 자재는 투습방수 효과가 있는 알루미늄 벤트를 사용하여야 미관 및 지붕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기와와 벽체와 인접하는 부분은 방수 처리 및 미관을 아름답게 하기 위해 후레싱을 대어 깔끔하게 처리합니다.
현관 쪽의 작은 기와골 부분도 깔끔하게 시공된 모습입니다.
시공이 모두 끝난 후의 사진입니다. 시공은 까다롭고 어려웠지만 예쁘고 아름다운 집으로 변모했습니다. 기와의 색과 벽돌이 잘 어우러져 산뜻하고 밝은 느낌을 주고 있습니다.
이번 시공에 사용된 기와는 마자론 기와의 오세아니크 제품입니다. 기와 중간중간 밝은 크림색의 포인트가 들어가 있는 변색기와로 전체적으로 밝은 느낌을 주는 기와입니다. 오세아니크 제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 마자론 오세아니크 제품 안내 바로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