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Y samhwagiwa
- POSTED IN 수입 기와, 마자론 기와, 변색 기와
- WITH 0 COMMENTS
- PERMALINK
- STANDARD POST TYPE

이번 현장은 제천시 백운면 원월리에 위치한 개인주택 신축 현장입니다. 콘크리트 골조에 샌드위치 패널로 지붕을 설계한 주택으로서 변형된 십자 형태 모양의 지붕 구조입니다. 다락방이 설치된 구조의 주택이라 지붕의 높이가 일반 주택에 비해 높은 편이며, 다락방이 위치한 곳인 주택 전면의 교차 지붕은 경사도가 무척 심한 편이라 시공하기에 매우 까다로울 것으로 예상되는 주택입니다.
최초 방문시의 사진입니다. 기초 콘크리트 골조 위에 철골 트러스로 지붕 골조를 짜고 샌드위치 패널로 지붕만 얹어 놓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직 외벽이 마무리되어 있지 않아 트러스 골조가 훤히 보입니다. 마당에는 외벽 조적을 위해 공수해온 적벽돌 팔레트가 보이고 있습니다. 기와 시공을 위해서는 외벽이 먼저 마무리되어야 하므로 본격적인 시공에 들어가려면 아직 기간이 좀 더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붕 트러스 구조를 내부에서 촬영한 사진입니다. 지붕 골조가 매우 견고하게 잘 시공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공하면서 여러 현장을 다녀보았지만 트러스 구조를 이렇게 튼튼하고 촘촘하게 설치한 현장은 처음입니다. 샌드위치 패널 지붕의 경우 트러스를 얼마만큼의 간격을 두고 배치하느냐에 따라, 그리고 어떤 두께의 패널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지붕의 내구성, 그리고 하중에 견디는 정도가 달라집니다. 비교적 무게가 가벼운 아스팔트 슁글을 지붕재로 시공한다면 상관없지만 무게감이 있는 기와 등의 소재로 지붕을 시공하는 경우, 지붕재 자체의 무게뿐만 아니라 겨울철에 지붕에 쌓이는 눈의 무게까지 더해지므로 튼튼한 트러스 설계가 필수입니다. 보통의 경우 건축주들이 이런 내용까지 알기는 쉽지 않아 시공업자에게 모든 것을 맡겨버리는 일이 많기 때문에, 간혹 지나치게 허술하게 짜여져 있는 지붕 골조를 볼 때마다 안타깝고 걱정스런 느낌이 들곤 합니다.
건물 뒷편의 모습입니다. 역시나 지붕이 이리저리 잘라져 있어 시공이 쉽지는 않겠습니다. 실측을 위해 지붕에 올라가려고 했으나 지붕면이 매우 미끄럽고 경사가 제법 있는 편이라 다음 기회로 실측을 미룹니다. 방수시트를 부착하고 나면 부직포가 적절한 마찰력을 제공해 주므로 지붕을 오르내리기가 훨씬 수월하기 때문에 차후 방문시에 실측을 하기로 하고 현장을 철수합니다.
실측을 위해 다시 방문했을 때의 모습입니다. 벽돌 조적 작업으로 외벽이 어느정도 마무리되어 있어 바깥에서 훤히 보이던 트러스 구조는 이제 보이지 않습니다. 벽돌이 쌓여져 있어서 그런지 처음 방문 때보다 훨씬 집의 모습이 갖춰져 가는 느낌입니다. 지붕면에는 방수시트가 부착되어 있어 한결 오르내리기가 수월할 것으로 보입니다.
각상 작업을 진행중인 모습입니다. 샌드위치 패널의경우 지붕면이 평평하므로 가로상만 시공하여도 큰 무리가 없습니다. 견고한 시공을 위해 각상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직결나사를 이용해 튼튼히 고정시킵니다.
하늘에서 바라보니 복잡한 지붕의 모습이 한눈에 들어옵니다. 각상 작업이 거의 마무리되었고 벨리 부분의 후레싱 작업과 물받이 부착이 남았습니다.
기와를 인양하여 펼쳐놓은 모습입니다. 이번 시공에 사용될 기와는 마자론 기와의 엘레강스 제품입니다. 적당히 무게감이 느껴지는 색상으로 밝은 느낌의 벽돌의 색감과 아주 잘 어울릴 것 같습니다.
갓기와를 부착하고 차근차근 시공에 들어갑니다. 날씨가 무척이나 뜨거워서 적절한 수분 공급은 필수입니다. 지붕은 뜨거운 태양열을 고스란히 받는 곳일 뿐더러 태양빛을 피할 그늘이 없기 때문에 여름철에는 작업자의 체력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기와골에서 내려오는 빗물이 꺾여져 내려가는 유도로입니다. 사진 가운데에 보이는 기와는 깨진 것이 아니라 처마 밑과 벽체에 완벽하게 부착하기 위해 복잡하게 재단하여 컷팅해 놓은 것입니다. 시공하다 이런 곳을 만나면 시간과 공이 많이 들어갈 뿐더러 하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공하기 위해 신경을 곤두세워서 작업하게 됩니다.
시공이 복잡하고 어려운 부분을 제외하곤 거의 시공이 마무리된 모습입니다.
윗지붕의 물받이에서 내려오는 물길을 위해 작은 물받이도 설치해 줍니다.
지붕이 잘려진 곳은 물받이까지의 길이에 맞춰 기와를 일정하게 잘라 시공합니다. 깔끔하게 잘 시공된 모습입니다.
밸리(기와골) 부분은 빈틈이 없도록 재단하여 시공합니다.
전면의 다락방이 위치한 곳의 지붕입니다. 경사가 무척이나 급한 것이 한눈에 들어옵니다. 가파른 경사 때문에 작업이 무척이나 힘들었던 곳입니다. 기와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직결나사를 이용해 기와를 각상에 촘촘하게 고정해 놓았습니다.
용마루 하부 자재는 투습 방수 기능이 있는 알미늄 벤트를 사용하여 마감합니다. 항상 강조하는 내용이지만 지붕의 수명 연장을 위해서 반드시 사용해 주어야 할 자재입니다.
시공을 모두 마친 후의 지붕 모습입니다. 복잡하고 까다로운 부분이 많았지만 깔끔하고 꼼꼼하게 마무리되었습니다. 기와의 색감도 아주 우아하고 적당한 무게감이 느껴져서 무척이나 아름답게 보입니다.
이번 현장에 사용된 기와는 마자론 기와의 엘레강스 제품입니다. 이름처럼 우아한 느낌의 기와로서 흰색 계열의 색상을 배제하여 전체적으로 중후하고 기품이 있는 느낌이 특징인 스테디셀러 기와입니다. 엘레강스 제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 마자론 엘레강스 제품 안내 바로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