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Y samhwagiwa
- POSTED IN 수입 기와, 마자론 기와, 변색 기와
- WITH 0 COMMENTS
- PERMALINK
- STANDARD POST TYPE

이번 현장은 제천시 고명동에 위치한 개인주택 신축 현장입니다. 콘크리트 골조와 슬라브 지붕으로 설계된 주택으로서 맞배지붕과 T자형 지붕이 살짝 층을 지고 붙어 있는 형태의 모양입니다.
시공 전의 모습입니다. 사진 오른쪽에 약간 높게 위치한 지붕이 맞배지붕, 왼쪽의 지붕이 T자형 지붕입니다. 외벽은 벽돌 및 줄눈 시공까지 마친 상태입니다. 이번 현장에도 기와와 외벽이 만나는 곳이 있기 때문에 벽돌 및 줄눈 시공이 선행되어야 기와를 시공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처마 부분의 미장 및 페인트칠이 안 되어 지붕 시공은 며칠 후에나 이루어졌습니다. 처마 부분의 페인트칠이 안 되어 있어도 기와 시공이 가능하긴 하지만, 나중에 페인트 시공팀의 작업이 어려워지므로 보통은 페인트 작업을 먼저 한 후에 기와 작업을 하게 됩니다.
지붕 실측을 위해 방문했을 때 이미 확인했지만, 지붕면의 상태가 워낙 좋지 않았습니다. 용마루선이나 밸리 (기와골)의 각도와 수평이 심하게 뒤틀려 있었고 사진에 보이는 처마 끝선 부분도 수평이 전혀 맞지 않는 울퉁불퉁한 상태여서 각상 시공이 무척이나 까다로울 것으로 예상하고 시공에 임했습니다. 그러나 다행히도 미장팀이 처마 부분 작업을 하면서 실을 띄워 몰탈을 덧발라서 수평을 어느 정도 맞춰 놓았습니다. 사진에 보시는 것처럼 몰탈이 처마 끝선에 많이 덧붙여 있는 것이 보입니다.
감사하게도 미장팀이 지붕 위의 용마루 부분도 실을 띄우고 몰탈을 덧붙여 어느 정도 수평을 맞춰 놓은 상태였습니다. 이렇게만 밑작업을 해 놓아도 각상 작업이 훨씬 수월하게 진행됩니다.
건물 전면 가운데에 위치한 지붕은 슬라브 끝을 사진에 보이는 것처럼 한옥 스타일로 살짝 들리게 시공을 해 놓았습니다. 바로 오른쪽 옆의 지붕은 비교적 제대로 시공해 놓았는데 가운데 지붕은 아무래도 목수들이 거푸집을 만들면서 실수를 한 것 같습니다. 어쩔 수 없이 자연스런 곡선이 나오도록 각상을 살짝 휘게 곡선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합니다. 위의 비교 사진을 보시면 아래쪽 사진의 각상 부근이 살짝 곡선 형태로 부착되어 있는 것이 보입니다.
기와를 인양하고 본격적으로 기와 시공을 시작합니다.
이번 시공 현장에는 위쪽 지붕과 아래쪽 지붕이 짧게 교차하는 곳이 있습니다. 위쪽 지붕에서 떨어지는 물이 아래쪽 기와 위로 흐를 수 있도록 밸리 후레싱으로 유도 물길을 만들어 줍니다. 후레싱 아래에는 알미늄 방수 벤트를 미리 한 번 더 붙여 놓아 누수를 원천 차단합니다.
매번 강조하지만 콘크리트 지붕에도 기와 밑 공기층의 환기가 중요하므로 투습방수 기능이 있는 알미늄 용마루 벤트로 용마루 하부 마감을 실시합니다. 기와의 굴곡을 따라 꼼꼼이 붙이고 그 위에 용마루를 부착하는 모습입니다.
지붕의 시공이 거의 끝났습니다. 밸리 부분도 벌어지거나 휘지 않게 빈틈없이 똑바로 재단하여 시공한 모습입니다. 밸리 부분의 기와 사이가 벌어지거나 구불구불하면 미관상 보기에 매우 좋지 않습니다.
시공을 모두 끝내고 물받이 선홈통 작업까지 마친 후의 사진을 다양한 각도에서 찍어 보았습니다. 지붕면의 상태가 좋지 않아 시공이 까다로웠지만 깔끔하게 시공되었습니다. 외벽의 벽돌색과도 기와의 색도 아주 잘 어울리는 예쁜 집이 탄생했습니다.
이번 현장에 사용된 기와는 마자론 기와의 뉘앙스 제품입니다. 알록달록한 색상이 특징인 기와로 중간중간 흰색의 포인트가 화려함과 화사함을 더해주는 베스트셀러 기와입니다. 뉘앙스 제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 마자론 뉘앙스 제품 안내 바로가기 >>